Mažasis princas / 어린 왕자 — w językach litewskim i koreańskim

Litewsko-koreańska dwujęzyczna książka

Antoine de Saint-Exupéry

Mažasis princas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Iš anglų kalbos vertė Pranas Bieliauskas.

송태효 옮김.

LEONUI VERTUI

레옹 베르트에게

Atsiprašau vaikų, kad šią knygą skyriau suaugusiam žmogui. Turiu rimtą pasiteisinimą: tas suaugęs žmogus — mano geriausias draugas pasaulyje. Turiu ir kitą pasiteisinimą: tas suaugęs žmogus viską supranta, net vaikiškas knygas. Turiu ir trečią pasiteisinimą: tas suaugęs žmogus gyvena Prancūzijoje, kenčia alkį ir šaltį. Jam labai reikia paguodos.

이 책을 어떤 어른에게 바친 데 대해 아이 들에게 용서를 빈다. 내게는 그럴만 한 각별한 사정이 있다. 이 어른이야말로 세상에서 나와 가장 친한 친구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사정이 있다. 이 어른은 모든 것을, 심지어 아동 도서 도 이해할 수 있다. 세 번째 사정은 이렇다. 이 어른이 지금 프랑스에서 굶주린 채 추위에 떨며 살고 있다는 것이다. 이 어른을 위로해 주어야 한다.

Jei visų šių pasiteisinimų nepakanka, tada skiriu šią knygą vaikui, iš kurio tas žmogus išaugo. Visi suaugusieji kadaise buvo vaikai. (Deja, tai prisimena tik nedaugelis.) Tad taisau paskyrimą:

이 모든 사정도 성에 차지 않는 다면 어린 시절의 그에게 이 책을 바치겠노라. 어른들도 한때는 모두 어린아이였으니까. (하 기야 이 사실을 기억하는 어른은 거의 없지만 말이 다.) 그래서 헌사를 이렇게 수정하노라.

LEONUI VERTUI, KAI JIS BUVO MAŽAS BERNIUKAS

어린아이 시절의 레옹 베르트에게

I

Kartą, kai man buvo šešeri, knygoje apie pirmykščią girią, pavadintoje Šiaip pasakojimai, pamačiau nuostabų paveikslėlį. Ten buvo nupieštas smauglys, ryjantis kažkokį žvėrį. Štai to piešinio kopija.

여섯 살 시절 나는 『모험기』라는 제목의 원시림 이야기책 에서 멋진 그림 하나를 본 적이 있다. 맹수를 삼키는 보아 뱀 그림이었다. 위의 그림은 그걸 옮겨 그려 본 것이다.

Knygoje buvo parašyta: „Smaugliai praryja visą savo auką nekramtydami, užtat jie negali nė krustelėti ir pusę metų miega ją virškindami“.

그 책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보아 뱀은 먹이를 씹지도 않고 통째로 삼킨다. 그러고는 꼼짝달싹 못 한 채 먹이가 소 화될 때까지 여섯 달 동안 잠만 잔다.”

Tada daug mąsčiau apie džiunglių nuotykius ir galiausiai spalvotu pieštuku man pavyko nupaišyti savo pirmąjį piešinį. Piešinį numeris 1. Jis atrodė taip:

그래서 정글 속 모험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그러 고는 혼자서 색연필로 내 생애 첫 번째 그림을 그려 내는 쾌 거를 이루었다. 내 그림 1호는 이러했다.

Savo šedevrą parodžiau suaugusiems žmonėms ir paklausiau, ar jiems mano piešinys baisus.

이 걸작을 어른들에게 보여 주고 그림이 무섭지 않은지 물 었다.

Jie atsakė:
— Kodėl skrybėlė turėtų būti baisi?

어른들은 “모자가 뭐가 무서운데?”라고 답했다.

Bet aš buvau nupiešęs ne skrybėlę, o smauglį, kuris virškina dramblį. Tada nupiešiau vidų, kad suaugusieji galėtų suprasti. Jiems visada reikia paaiškinti. Mano piešinys numeris 2 atrodė taip:

내 그림은 모자를 그린 게 아니었다. 코끼리를 소화하는 보아 뱀 그림이었다. 그래서 나는 어른들이 알아볼 수 있도 록 보아 뱀 속을 그렸다. 어른들에게는 언제나 설명이 필요 한 법이다. 나의 그림 2호는 이러했다.

Suaugusieji man patarė nepiešti smauglių nei iš išorės, nei iš vidaus, o verčiau domėtis geografija, istorija, aritmetika ir gramatika. Todėl būdamas šešerių atsisakiau puikios dailininko karjeros.

어른들은 속이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보아 뱀 그림 따위 는 집어치우고 차라리 지리와 역사와 산수와 문법에 관심을 가지라고 충고했다. 이런 연유로 그만 나는 나이 여섯에 화 가라는 멋진 직업을 포기해 버렸다.

Patyręs nesėkmę su piešiniais numeris 1 ir numeris 2, labai nusiminiau. Suaugusieji niekad nieko nesupranta patys, o vaikams pabosta visą laiką jiems aiškinti ir aiškinti…

내 그림 1호와 그림 2호 의 실패로 그만 기가 꺾인 탓이다. 어른들 스스로는 아무것 도 이해할 수 없다. 그럴 때마다 설명을 해 주어야 하니 어린 아이들로서는 피곤한 일이다.

Tad turėjau rinktis kitą profesiją ir išmokau vairuoti lėktuvus. Apskridau jais beveik visą pasaulį. Ir geografija man iš tikrųjų labai pravertė.

그렇게 나는 다른 직업을 택해야 했기에 비행기 모는 법을 배웠다. 거의 안 가 본 데 없이 세계 곳곳을 날아다녔다. 지 리 공부는 진정 내게 큰 도움이 되었다.

Aš įstengdavau iš pirmo žvilgsnio atskirti Kiniją nuo Arizonos. Tai labai naudinga, jei pasiklysti naktį.

한눈에 중국과 애리 조나를 구별할 줄 알았다. 야간 비행에서 길을 잃고 헤맬 때 지리는 정말 쓸모 있는 법이다.

Per savo gyvenimą man teko be galo daug bendrauti su begale rimtų žmonių. Aš ilgai gyvenau tarp suaugusiųjų. Prisižiūrėjau į juos iš labai arti, bet mano nuomonė apie juos ne kaži kiek pagerėjo.

이렇게 일생을 살아오는 동안 나는 수많은 진지한 사람들 과 수많은 만남을 가졌다. 어른들 세계에서 많이 살았다는 얘기다. 나는 그들을 매우 가까이서 살펴볼 수 있었다. 그렇 다고 어른들에 대한 견해가 그다지 나아진 것도 아니다.

Kai sutikdavau suaugusįjį, kuris man atrodydavo truputį nuovokesnis už kitus, išbandydavau jį savo piešiniu numeris 1, kurį išsaugojau. Norėdavau sužinoti, ar tas žmogus iš tikrųjų ką nutuokia.

어른들 가운데 어느 정도 명석해 보이는 사람을 만나면 늘 지니고 다니던 내 그림 1호로 시험해 보았다. 그가 정말 혜 안을 지녔는지 알고 싶었다.

Bet visada išgirsdavau tą patį atsakymą: „Tai skrybėlė“.

하지만 언제나 돌아온 답은 ‘어, 모자잖아’였다.

Todėl daugiau nebesikalbėdavau su juo nei apie smauglius, nei apie pirmykščias girias, nei apie žvaigždes. Nusileisdavau iki jo lygio, ir mudu šnekėdavomės apie bridžą, golfą, politiką ir kaklaraiščius. Ir tas suaugėlis būdavo labai laimingas susipažinęs su tokiu protingu žmogumi…

그러면 나는 보아 뱀 이야기도, 원시림 이야 기도, 별 이야기도 꺼내지 않았다. 그 수준에 맞게 말을 꺼냈 다. 트럼프, 골프, 정치, 넥타이 이야기 말이다. 그러면 어른 들은 상당히 괜찮은 사람을 알게 되었다고 무척 만족스러워 했다…

II

Taip ir gyvenau vienas, neturėdamas su kuo pasišnekėti iš širdies, kol prieš šešerius metus Sacharos dykumoje įvyko avarija.

나는 이렇게 진심어린 대화를 나눌 사람 하나 없이 고독하 게 살았다. 육 년 전 사하라 사막에서 비행기가 고장을 일으 킬 때까지도.

Kažkas sulūžo mano lėktuvo variklyje. Su manimi nebuvo nei mechaniko, nei keleivių, ir aš nusprendžiau pamėginti jį sutaisyti pats, nors manęs laukė sunkus darbas.

엔진 내부 어딘가가 파손되어 기사도 승객도 없 이 혼자서 어려운 수리에 나선 참이었다.

Man tai buvo gyvybės ar mirties klausimas. Geriamojo vandens turėjau vos vienai savaitei.

나로서는 사활이 걸 린 문제였다. 물도 겨우 일주일 치밖에 남아 있지 않았다.

Pirmąjį vakarą užmigau ant smėlio už tūkstančio mylių nuo žmonių gyvenamos vietos. Jaučiausi vienišesnis nei viduryje vandenyno ant plausto plūduriuojantis jūreivis, išsigelbėjęs iš skęstančio laivo.

첫날밤은 사람 사는 마을에서 수천 마일 떨어진 모래 위에 서 수면을 취했다. 대양 한가운데 난파당해 표류하는 뗏목 위의 표류자보다 훨씬 더 외로웠다.

Todėl galite įsivaizduoti, kaip nustebau, kai auštant mane pažadino keistas plonytis balselis. Jis tarė:

그러니 동틀 무렵 이상 야릇한 꼬마목소리에 깨어난 내가 얼마나 놀랐을지 상상해 보라. 그 목소리는 이렇게 말했다.

— Prašau… nupiešk man avelę.

“저…양 한 마리만 그려 줘!”

— Ką?

“뭐라고?”

— Nupiešk man avelę…

“양 한 마리 그려 달라니까…”

Pašokau, tarsi į mane būtų trenkęs žaibas. Pasitryniau akis. Gerai apsižvalgiau aplink. Ir pamačiau mane rimtai stebintį nepaprastą mažą berniuką.

벼락이라도 맞은 듯 나는 소스라쳐 일어났다. 열심히 눈을 비비고 주위를 조심스럽게 둘러보았다. 그랬더니 정말 범상 치 않은 모습의 어떤 어린 녀석이 나를 뚫어지게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Štai geriausias jo portretas, kurį vėliau man pavyko nupiešti.

이 그림은 내가 나중에 그려낸 그의 초상 화 가운데 가장 잘된 초상화다.

Mano piešinys, žinoma, žavumu nė kiek neprilygsta modeliui. Tačiau aš nekaltas. Kai buvau šešerių, suaugusieji man atmušė bet kokį norą tapti dailininku, ir aš nieko daugiau neišmokau piešti, tik smauglius iš vidaus ir iš išorės.

그러나 당연히 내 그림은 모 델보다 훨씬 덜 매력적이다. 그것은 내 잘못이 아니다. 여섯 살 때 어른들 때문에 기가 꺾여 화가로서의 내 직업에서 멀 어져 속이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보아 뱀 말고는 그림 공부 를 해본 적이 없으니까.

Tad išpūtęs iš nuostabos akis žiūrėjau į netikėtą vaiduoklį. Nepamirškit, kad buvau atsidūręs už tūkstančio mylių nuo bet kokios gyvenamos vietos. Tačiau mano mažylis neatrodė nei išklydęs iš kelio, nei mirtinai pavargęs, nei mirštantis iš alkio, troškulio ar baimės.

그래서 나는 깜짝 놀라 두 눈을 부릅뜨고 유령처럼 출현한 그 모습을 바라보았다. 사람 사는 마을에서 수천 마일 떨어 진 곳에 내가 있었다는 사실을 상기하시라. 그런데 녀석은 길을 잃었다거나, 피곤함에 시달리거나, 굶주림에 시달리거 나, 목마름에 시달리거나, 두려움에 시달린 것 같지도 않았 다.

Ir nė kiek nebuvo panašus į vaiką, Štai geriausias jo portretas, kurį vėliau man pavyko nupiešti pasiklydusį dykumos viduryje, už tūkstančio mylių nuo bet kokios gyvenamos vietos. Galop atgavęs žadą paklausiau:

사람 사는 마을에서 수천 마일 떨어진 사막 한가운데에 서 길을 잃은 기색이라곤 전혀 없었으니까. 마침내 겨우 입 을 열어 그에게 말을 건넸다.

— Bet… ką tu čia veiki?

“그런데…여기서 뭐 하니?”

Ir tada jis vėl tyliai, bet labai rimtai pakartojo:

그러자 그는 매우 진지한 이야기라도 하듯이 아주 천천히 같은 말을 되풀이했다.

— Prašau… nupiešk man avelę.

“아저씨…양 한 마리만 그려 줘…”

Kai viskas taip paslaptinga ir stulbinama, nedrįsti spyriotis. Nors ir kaip man tai atrodė kvaila čia, už tūkstančio mylių nuo gyvenamųjų vietovių ir per plauką nuo mirties, išsiėmiau iš kišenės popieriaus lapą ir automatinį plunksnakotį.

신비로움이 너무 강렬하면 순순히 따르게 마련이다. 사람 사는 마을에서 수천 마일 떨어진 곳에서 죽음과 대면한 처지 치고는 영 터무니없는 일처럼 여겨졌지만 나는 주머니에서 종이 한 장과 만년필을 꺼냈다.

Bet staiga prisiminęs, kad mokykloje man daugiausia teko mokytis geografijos, istorijos, aritmetikos ir gramatikos, mažyliui atsikirtau (net piktokai), kad nemoku piešti. Jis atsakė:

그러나 내가 특별히 공부한 것이라곤 지리, 역사, 산수, 문법이라는 생각이 들자 (조금은 기분이 언짢아져) 그림을 그릴 줄 모른다고 녀석에게 털어놨 다. 그는 대답했다.

— Nesvarbu. Nupiešk man avelę.

“상관없어. 양 한 마리만 그려 줘.”

Kadangi niekad nebuvau piešęs jokios avelės, nupiešiau jam vieną iš dviejų piešinėlių, kurie man išeidavo: smauglį iš išorės. Ir labai nustebau, kai mažylis sušuko:

한 번도 양을 그려 본 적이 없었으므로 나는 그를 위해 내 가 그릴 수 있는 유일한 두 그림 가운데 하나를 다시 그려 주 었다. 속이 보이지 않는 보아 뱀 그림을 말이다.

— Ne! Ne! Nenoriu dramblio smauglyje! Smauglys labai pavojingas, o dramblys labai gremėzdiškas. Ten, kur aš gyvenu, viskas labai maža. Aš noriu avelės. Nupiešk man avelę.

그러자 녀석은, “아니, 아니, 보아 뱀 속 코끼리는 싫어. 보아 뱀은 무지 위험해. 그리고 코끼리는 아주 거추장스럽 고. 내 사는 곳은 아주 좁아. 난 양이 필요해. 양을 그려 줘!” 라고 답하는 것이었다.

Ir aš nupiešiau.

그래서 나는 그렸다.

Mažylis atidžiai pažiūrėjo, paskui tarė:

조심스럽게 살피더니 녀석은 이렇게 말했다.

— Ne! Šita jau labai serga. Nupiešk kitą.

“안 돼! 이건 벌써 병 이 심한데. 다시 하나 그려 줘.”

Ir aš nupiešiau.

나는 또 그렸다.

Mano bičiulis švelniai ir atlaidžiai nusišypsojo.

내 친구는 너그럽고 상 냥하게 미소 지었다.

— Argi tu nematai, kad čia ne avelė, o avinas? Ji su ragais.

“봐… 이건 양이 아니라 숫양인 걸. 뿔이 달렸잖 아…”

Tad aš dar sykį perpiešiau savo piešinį.

그래서 또다시 그렸다.

Bet jis atmetė jį kaip ir ankstesnius.

그러나 그것도 앞의 그림들 처럼 퇴짜를 놓는 것이 아닌가.

— Šita per sena. Aš noriu tokios avelės, kuri ilgai gyventų.

“이건 너무 늙었어. 난 오래 살 수 있는 양이 필요해.”

Tada, praradęs kantrybę — mat norėjau kuo greičiau pradėti ardyti variklį, — pakeverzojau štai tokį piešinį.

나는 서둘러 엔진을 분해해 야 했기에 그만 참지 못하고 여기 있는 이 그림을 대충 끼적 거려 주고는 한마디 툭 던졌다.

Ir pareiškiau:


— Tai dėžė. Avelė, kurios tu nori, viduj.

“이건 상자야. 네가 원하는 양은 상자 안에 있어.”

Tačiau labai nustebau pamatęs, kad staiga mano jaunojo teisėjo veidas nušvito:

그 러 자 내 어린 심사위원 의 얼굴이 환 히 밝 아 지 는 걸 보고 새삼 놀 라 지 않 을 수 없었다.

— Kaip tik tokios aš ir norėjau! Kaip manai, ar ši avelė ėda daug žolės?

“이게 바로 내가 원하던 거야! 이 양에게 풀을 많이 챙겨 줘야 하나?”

— Kodėl klausi?

“왜?”

— Nes ten, kur aš gyvenu, viskas labai maža…

“우리 집은 아주 작거든…”

— Žinoma, jai užteks. Aš tau padovanojau labai mažą avelę.

“틀림없이 충분할 거다. 네게 준 건 아주 작은 양이니까.”

Jis pasilenkė prie piešinio:
— Ne tokią jau mažą… Žiūrėk! Ji užmigo…

그는 그림을 향해 고개를 숙였다.
“그다지 작지도 않은걸… 어라! 잠들었네…”

Taip aš susipažinau su mažuoju princu.

이렇게 어린왕자를 알게 되었다.

III

Labai ilgai nesupratau, iš kur jis atsirado. Mažasis princas mane apibėrė klausimais, bet manųjų, regis, negirdėjo.

한참이 지나서야 그가 어디서 왔는지 알게 되었다. 어린 왕자는 내게 많은 질문을 던졌지만 정작 내 질문에는 귀 기 울이지 않는 것 같았다.

Viską pamažu sužinojau tik iš netyčia ištartų jo žodžių. Sakykim, pirmą kartą pamatęs mano lėktuvą (lėktuvo aš nepiešiu, man tai būtų pernelyg sunku), jis paklausė:

우연히 그의 입에서 나온 말들 덕분 에 점차 모든 것이 밝혀졌다. 가령, 내 비행기를 처음으로 본 그는(내 비행기는 그리지 않으련다. 그것은 나에게는 너무도 복잡한 그림이니까) 내게 이렇게 물어 왔다.

— Koks čia daiktas?

“이 물건은 뭐야?”

— Tai ne daiktas. Jis skrenda. Čia lėktuvas. Mano lėktuvas.

“이건 예사 물건이 아니야. 날아다니거든. 비행기지. 내 비행기란다.”

Ir išdidžiai jam pareiškiau, kad moku skraidyti. Tada jis sušuko:

그리고 내가 날아다닌다는 것을 그에게 가르쳐 주자 우쭐 해졌다. 그러자 그가 소리쳤다.

— Kaip? Tu nukritai iš dangaus?

“뭐, 하늘에서 떨어졌단 말이지?”

— Taip, — kukliai atsakiau.

“그럼.” 하고 나는 겸손하게 답했다.

— Ak, kaip keista!..

“아! 거참 재미있네…”

Ir mažasis princas taip skambiai nusikvatojo, kad labai susierzinau: aš noriu, jog į mano nelaimes būtų žiūrima rimtai. Paskui jis pridūrė:

그러면서 어린 왕자는 매우 멋지게 웃음을 터뜨렸는데 내 기분은 몹시 언짢았다. 다른 사람들이 내 불행을 심각하게 받 아주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그는 말을 계속했다.

— Vadinasi, tu irgi nusileidai iš dangaus? Iš kokios planetos?

“그럼 아저씨도 하늘에서 온 거네! 어느 별인데?”

Tada man nušvito jo pasirodymo čia paslaptis, ir aš staiga paklausiau:

나는 곧바로 수수께끼 같은 그 존재 속에 한 줄기 서광처 럼 무언가 실마리가 잡히는 것 같아 불쑥 물어보았다.

— Tai tu čia atkeliavai iš kitos planetos?

“그러니까 다른 별에서 왔다 이거지?”

Bet jis neatsakė. Tik tyliai linguodamas galvą žiūrėjo į mano lėktuvą:

그러나 그는 대답하지 않았다. 내 비행기만 바라보며 살며 시 고개를 끄덕였다.

— Aišku, tokiu daiktu tu negalėjai atskristi iš labai toli…

“하기야 이걸로는 그렇게 멀리서 올 수도 없었겠네…”

Jis ilgai kažką galvojo. Paskui išsiėmė iš kišenės mano avelę ir susimąstęs ėmė apžiūrinėti savo lobį.

그러고는 한참 동안 깊이 몽상에 잠겼다. 그러고는 주머니 에서 내가 그려 준 양을 꺼내서는 그 보물을 들여다보며 생 각에 잠겼다.

Galite įsivaizduoti, kokį smalsumą jis man sužadino puse lūpų prasitardamas apie „kitas planetas“. Todėl pamėginau sužinoti daugiau.

‘다른 별들’에 관한 알 듯 말 듯 한 이야기에 얼마나 호기심이 발동했을지 상상해 보라. 그래서 애써 좀 더 알아보고자 했다.

— Iš kur tu atsiradai, mažyli? Kur tavo namai? Kur tu nori nusinešti mano avelę?

“꼬마야, 넌 어디서 왔니? ‘네 집’이라니 그게 어딘데? 내 양은 어디로 데려간단 말이니?”

Ilgokai galvojęs, jis atsakė:

그는 말없이 생각에 잠기더니 내게 대답했다.

— Labai gerai, kad davei man dėžę: naktimis tai bus jos namelis.

“아저씨가 준 상자가 밤에는 집이 될 테니 잘 됐지 뭐야.”

— Žinoma. Ir jei būsi geras, duosiu tau ir virvutę, kad dieną galėtum ją pririšti. Ir kuoliuką.

“그렇고말고, 그리고 얌전하게 굴면, 낮 동안 양을 묶어 놓게 줄을 주마. 그리고 말뚝도.”

Bet mano pasiūlymas mažąjį princą, regis, pribloškė.

그 제안에 어린 왕자는 황당해했다.

— Pririšti? Kokia keista mintis!

“양을 묶어 놔? 참 희한한 생각이네.”

— Bet jeigu jos nepririši, ji nueis nežinia kur ir pasiklys.

“하지만 묶어 놓지 않으면 아무 데로나 가서 길을 잃을지 도 몰라.”

Mano bičiulis vėl nusikvatojo:

그러자 내 친구는 다시 웃음을 터뜨렸다.

— Kurgi ji, tavo manymu, gali eiti?

“어디로 간다는 거야?”

— Bet kur. Tiesiai, kur veda akys…

“어디든지 곧장 앞으로…”

Tada mažasis princas rimtai pareiškė:

그랬더니 어린 왕자는 진지한 빛으로 말했다.

— Tai nieko, ten, kur aš gyvenu, labai maža vietos.

“상관없어. 우리 집은 아주 작으니까!”

Ir, regis, truputį nuliūdęs pridūrė:

그러고는 약간은 우수를 머금은 채 말을 이었다.

— Eidamas tiesiai, labai toli nenueisi…

“곧장 가 봐야 그렇게 멀리 가지도 못해…”